-{{ }}
-#
머스테시 링크
<span><form action="#" method="post">
<button class="btn btn-danger mt-3">삭제하기</button>
</form>
</span>
머스테치 _ #(멈춰, 디폴트-v) ⇒ url(여기로 와) 로 바꿔야 보여짐.
사이트 연결 x
-localhost가 연결 거부
workbench 연결하기!


GRANT ALL PRIVILEGES ON store.* To'root'@'localhost';
하니까 오류해결(gpt ask)
찾다가 {{product.id}} vs {{id}}이것이 궁금해졌다.
gpt한테 물어니{{id}}로 하면 아래와 같이 설명하였다.
<form> 태그의 action 속성은 HTML의 특정한 문법에 따라 동작합니다.
Mustache 템플릿을 사용하더라도 브라우저는 HTML을 파싱하고 해당하는 URL을 생성하게 됩니다.
따라서 <form action="/product/{{id}}">과 같이 작성하더라도 브라우저는
{{id}}를 해당하는 값으로 대체하여 올바른 URL을 생성합니다.
이러한 동작은 대부분의 최신 브라우저에서 지원되며,
실제로 명시적인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지 않아도 작동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이 방식은 명시적인 변수 대체를 지원하는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는 것보다는
덜 유연하고 안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따라서 가능하면 명시적인 변수 대체 문법을 사용하여 템플릿을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.
이렇게 하면 코드가 명확하고 예측 가능하며, 다른 개발자들이 코드를 이해하기 쉬워집니다.
그래서 알아보았다.
{{product.id}} vs {{id}}
{{#productList}}
<tbody>
<tr class="offer-table">
<th scope="row">{{id}}</th>
<td>{{name}}</td>
<td>{{price}}</td>
<td>{{qty}}</td>
<td>
<div class="new-create-button">
<form action="/product/{{id}}">
<!-- // 왜냐면 중괄호 productList로 이미 감쌌기 때문에 product.id 하지 않아도 알아먹는다.-->
<button type="submit" class="btn btn-outline-primary">상세보기</button>
</form>
</div>
</td>
</tr>
</tbody>
{{/productList}}
아무것도 쌓여져 있지 않은 머스테시에서는 {{product.id}} 것이 명시적으로 좋을 수 있고
하지만 위의 경우 productList안(주머니)에 product들이 있으니까
바로 {{id}}해도 돼.
바로 id를 꺼낼껀지 아니면 상품 list안에 상품 안에 id 꺼낼건지. 차이.
둘 다 작동은 된다.
+) 머스태치 문법_href
머스태치_html문법사용
<a href=> (주소)는 sumbit, (class에 btn)이 함께 해야 제출이 된다.
<div class="d-flex justify-content-center">
<button type="submit" class="btn btn-primary mt-3">상품등록완료</button>
</div>
Share artic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