예를 들어 논문이 있으면 여러 나라에서 쓰면, 여러 언어들이 많으니 영어로 공통어를 씀
1) 언어
2) 툴(write, read)
http / 확장자/ 프로토콜


http 프로토콜
:// 의미 없음
ip주소
:80 포트번호(브라우저는 디폴트로 생략ex> naver)
프로토콜 : 일종의 약속 , 통신을 의한 규약
ex) port 뒤에 /는 폴더야
http://0.1.1.1:80/user/login.html
HTTP프로토콜
- GET
- Stateless
http body : 실제 줘야 하는 data
버퍼에 url담김?
서버
데이터 응답)
BW : IP/Html내용 다 들어있음
⇒의미 있게 파싱. 2가지로 분리
1) http body : 아무것도 담겨있지x
2) http header : (1) get (2) url (3) 소스주소(클라이언트 ip주소)_출발지 ip주소
app/ os /hw
서버가 hw > os >l소켓-bw : get.출발지 ip주소,url l app 브라우저
DNS

Share article